재일 한국인 사회주의단체인 북성회(北星會)의 국내지부로서 1924년 11월 25일에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운동단체. 김약수(金若水)·김종범(金鍾範)·마명(馬鳴)·정운해(鄭雲海)·남정철(南廷哲)·서정희(徐廷禧)·박창한(朴昌漢)·박세희(朴世熙)·신용기(辛容箕, 일명 辛鐵)·송봉우(宋奉瑀)·이호(李浩) 외 13명의 주동으로 재일(在日) 사회주의 단체인 북성회(北星會)의 국내 지부로서 성립되었다. 이에 앞서 1921년 11월 재일 한국인 20여 명이 모여 재일 한국인 사회주의 운동단체의 효시인 흑도회(黑濤會)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흑도회는 창립된 그 해 12월 무정부주의를 주장하는 박렬(朴烈)파와 사회주의를 주장하는 김약수파의 대립으로 해산되었다. 해산 후 김약수 일파는 1923년 1월 일본 동경에서 사회주의 사상단체인 북성회를 조직하였다. 이때의 구성원은 김약수·김종범·송봉우·변희용(卞熙鎔)·김장현(金章鉉)·이여성(李如星) 등 60여 명이었다. 동경에 본부를 둔 북성회는 자파의 인물들로 국내의 사회주의단체를 장악하려 하였다. 사회주의 사상보급을 위한 전국 순회강연은 그러한 노력의 일단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국내의 유력한 청년·사상단체인 서울청년회와의 반목의 계기가 되어, 북성회는 국내 단체를 계통적으로 지휘하기 위한 최고 기관을 설치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1923년 10월서울 재동(齋洞)에서 김약수·김종범·마명·이헌(李憲)·김재명(金在明) 등 160여 명이 모여 건설사(建設社)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이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1924년 11월 북풍회가 결성되었다. 북풍회는 창립과 동시에 코민테른의 블라디보스토크 극동기관 책임자 인데르슨에게 한국의 유일한 사회주의자 통일전선임을 과장해서 보고하였으나 승인받지 못하였다. 북풍회라는 명칭은 ‘북풍이 한번 불게 되면 빈대나 모든 기생충이 날아가버린다.’는 속언에 근거한 것이었다. 여기서 북풍은 마르크스주의 혹은 사회주의 이념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고 당시의 국내 군소 단체를 북풍회의 위력으로 통일한다는 의미였다. 북풍회는 한국에서의 사회주의 목표 실현을 위해서는 한일무산자계급(韓日無産者階級)의 관계가 유기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북풍회